산지에서 고생고생해서 농사를 짓지만 제값을 못 받는
농산물!!
실제 농가에서의 판매가와 소비자들의 구매가가 몇배씩
차이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. ㅠㅠ
그렇지만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농가에서 새로운
판로를 개척하는 건 어렵게만 느껴지는게 현실입니다
하지만 이를 잘 활용하여 억대의 수입을 올리는
신농부가 대거 등장하고 있고, 뉴스에는 농업의
인터넷 쇼핑 등 온라인 판매 증가 관련 내용이
심심치 않게 보도되고 있어, 기회가 존재하는
시장인 것은 분명합니다.
실제 온라인쇼핑의 규모는 연간 200조원을 상회하고 있으며,
특히 남녀노소 불문 1인 1스마트폰은 필수인 시대에서
2~3개 스마트폰을 보유한 상황에서 모바일 부문의 쇼핑은
점점 더 성장하고 있습니다.
이러한 트렌드는 농업분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는데,
생물을 취급하는 특성상 유통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
2022년 기준 9조4천억원(전체 온라인쇼핑의 4%상회)의 거래액을
달성하고 그 거래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.
농가에서 온라인 쇼핑이 필수인 이유
- 시간과 비용 절약:
온라인 쇼핑을 통해 농가는 지역 시장이나 유통 업체까지 이동하는
시간과 교통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자원을
생산에 집중할 수 있음 - 넓은 시장 접근성:
농협 공판장, 전통시장 등 지역에 국한된 판매채널 외에도 온라인 쇼핑
플랫폼을 통해 농산물은 지역 시장뿐만 아니라 국내외로 24시간
확장하여 시장에 노출 시킬 수 있으며, 이는 곧 더 넓은 고객층에
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입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음 - 다양한 판매 채널:
농가는 절약된 시간과 비용을 신선한 농산물 뿐만 아니라
가공 식품이나 추가 가공품 생산에 활용하여 소비자들에게
다양한 형태와 가격대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
(고객의 다양한 니즈 충족) - 마케팅 및 브랜딩:
농업도 곧 사업이므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농가 자체의 브랜딩과
마케팅 강화를 꾀할 수 있음
체계적으로 디자인된 웹사이트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농산물의
특징과 장점을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여,
농산물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향상을 시킬 수 있음 - 주문 및 재고 관리의 용이성:
온라인 쇼핑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자체적인 주문 처리와 재고 관리툴을
제공하기 때문에, 재고 관리와 주문 처리 과정에 대한 자동화가 가능함
농가에서는 재고 부족 및 로스를 최소화하고 고객 주문에
보다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함 - 고객 피드백 및 개선:
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들의 의견과 피드백을 쉽게 수집할 수 있음
'소비자 후기'를 통해 판매하는 제품의 개선점이나 변경사항을 파악하고
고객들의 요구에 맞춰 새로운 상품 개발이 가능함
농업산업 전반의 효율성 증대 가능
산지에서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유통구조의 최소화를 통한 유통마진의
농가귀속 및 소비자는 보다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할 수 있으며,
고객과의 직접 소통이 가능하다는 온라인쇼핑의 최대 장점을 활용하여
농산물의 생산과정, 인증 및 품질 등을 소비자에게 보다 자세하게 전달함으로써
신선도와 안전성을 확인 후 구매결정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
있습니다.
결과적으로 농업의 온라인쇼핑 참여는 농가 속득의 증대,
농산물 유통 구조의 혁신, 지속가능한 농업 경영체 기반 확보 등
향후 농촌 활성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전략적 선택이 될 것이며,
그 중요성은 앞으로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
'농사 농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왜 국가가 농업을 지켜야 하나(식량 안보의 중요성) (0) | 2023.08.28 |
---|---|
쌀 얼마나 드세요?(통계로 알아보는 쌀 소비량) (0) | 2023.08.22 |
농업으로 연봉 얼마까지 가능할까?(2)_(농부 연봉/수입) (0) | 2023.08.18 |
농업으로 연봉 얼마까지 가능할까? (농부 연봉/수입) (0) | 2023.08.16 |
옥상정원의 정의와 효과 (0) | 2023.08.14 |